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omputer Science12

[HTTP] HttpClient recvAddress(..) failed: Connection reset by peer 문제해결 과정기 -상- 안녕하세요 Dev. Pluto입니다. 며칠 전 새로운 오류가 하나 발생해서, 어떤 문제였고 어떻게 해결했으며 그 과정중에 어떤것을 느끼고 배웠는지 블로그에 정리하며 복습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목차 문제상황 원인분석 대응내용 미흡했던 부분 반성 문제상황 소셜 플랫폼에 동영상을 공유하는 서비스를 유지보수 하고 있던 도중 FaceBook, Instagram에 직접 api 통신하는 서버에서 다음과 같은 로그가 발생했었습니다. org.springframework.web.reactive.function.client.WebClientRequestException: recvAddress(..) failed: Connection reset by peer 발생환경 Kotiln/spring boot webflux s.. 2024. 3. 9.
[CS] Client 와 서버가 비동기로 통신하려면? (Server Side Event) 안녕하세요 Dev. Pluto 입니다. 오늘은 개발을 하면서 client 와 server가 비동기로 데이터를 주고받을때는 어떻게 해야할까? 에 대한 고민의 답을 제 나름대로 정리해서 기록해보는 시간을 가질까 합니다. 먼제 제가 작성하는 게시글은 언제나 그렇듯 올바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정보에 대한 비판은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Asyncronous 통신의 여러가지 방법 polling Server Side Event (SSE) 보통의 일반적인 웹 서비스에서의 화면 단에서의 유저가 특정 동작을 하며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이벤트에 따른 적잘한 응답이나 동작을 서버 단에서 데이터를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구조에서 사용자가 요청을 하고 즉각적인 응답을 내리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2023. 4. 15.
[HTTP] 세션?? 쿠키?? 안녕하세요! 플루토입니다. 오늘은 웹 + 모바일 전반에 쓰이는 Cookie에 대해서 알아보고 다음 시간에는 조금 더 세부적인 서명된 쿠키, 서명된 URL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읽고난 뒤 여러분은 1. 쿠키와 세션에 대해 설명할 수 있고, 둘의 차이에 대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서명된 쿠키, 서명된 URL방식에 대해 이해하고, 차이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3. 위에서의 요소들이 실제 인터넷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Cookie? Session? 쿠키와 세션은 컴퓨터를 전공하지 않았더라도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한번쯤 들어봤을 법한 이름입니다. 웹이나 모바일 통신을 사용할 때 Client Server 간의 통신간 유지하려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 2022. 4. 13.
[Pluto's 컴퓨터 이야기] Mutex와 Semaphore의 차이? 안녕하세요 플루토입니다! 이전 시간에는 운영체제 동기화 방식에서 락(SpinLock)방식의 한계와 개선된 방법, 그리고 다른 방식으로 동기화를 했던 Higer-level Synchronization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리고, 대표적인 방법으로 세마포어, 모니터 방식의 동기화를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세마포어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읽고난 뒤 여러분은 1. 세마포어의 종류인 Mutex, Counting semaphore에 대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둘 간의 차이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3. 세마포어의 대표적인 문제점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뮤텍스 vs 세마포어? 이전 시간에도 알아보았듯 위 두개는 전혀 다른 동기화 방식이 아닙니다. 주요 차.. 2022. 2. 28.
반응형